본문 바로가기
하루의 공부/사진과 영상

[영상학] 장면 분석: 스토리, 플롯 그리고 미장센

by 또요미 2020. 2. 13.

장면 분석 및 연출

스토리 / 플롯 // 미장센

일반적으로 플롯 분석는 시나리오 작업의 시작이나 과정에서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연출자는 스토리보드 작업을 할 때부터 촬영에 들어가기까지 끊임없이 플롯에 대한 고민과 점검과 수정을 거듭합니다.


  스토리와 플롯

1. 스토리(story)
- 시간적 순서대로 배열되는 이야기 구조입니다. 즉 영화에서 인물과 사건 혹은 상황이 직접 드러나지 않더라도 우리는 이야기를 유추하거나 상상할 수 있습니다.

- 화면에 분명히 나타난 사건들(명시적으로 제시된 사건들)과 화면에 분명히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추측할 수 있는 사건들(추론된 사건들)의 총합입니다.

2. 플롯(plot)
- 스토리가 영화상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영화의 영상을 통해 시청각적으로 표현된 사건의 질서입니다. 즉 스토리를 사건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배열하는 것입니다. 유기적으로 배열한다는 것은 사건의 배열이 원인과 결과인 인과관계로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 화면에 분명히 나타난 사건들(명시적으로 제시된 사건들)과 감독이 삽입한 효과, 상징 화면 등을 통해 관객이 알 수 있는 것(극 중 인물들은 전혀 알 수 없는 외재적 소재들)의 총합입니다.

☆ 정리 ☆
• 관객이 영화관에서 실제로 보는 것은 '플롯'
▶ 스토리를 유추 및 재구성
▶ 감독이 선택하여 관객에게 보여주는 부분

[관객의 입장] 플롯을 보고 스토리를 유추하는 것
[감독의 입장] 스토리를 플롯으로 바꾸는 것


플롯과 장르의 차이?
- 기존의 정형화된 스토리에 사회적, 미학적 특성이 더해지고 세련화 과정을 거쳐서 장르가 탄생합니다. 장르는 산업적, 문화적 태도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장르는 플롯의 상위 개념으로, 장르의 구성 요소로는 플롯, 캐릭터, 무대(배경), 주제, 스타일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르란 이야기의 정형화뿐만 아니라 시각적 요소의 정형화를 포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장센

미장센의 향연으로 유명한 영화 '아가씨'

'미장센'이란?
- 영화의 시각적 스타일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원래 프랑스에서 연극 용어로 사용되었고 번역하면 '무대에 배치하기'입니다. 영화적 의미로는, 연출가가 무대 위의 모든 시각적 요소들에 입각하여 배열하는 행위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내에서 화면을 구성하는 요소들, 즉 배우의 연기, 세트디자인, 의상, 동작, 대사, 빛, 공간적 관계, 중요한 물건의 위치 등을 배열하는 것입니다. 미장센을 통해 연출자는 관객에게 무엇을 보여줄 것인지와 그것을 어떻게 보도록 할 것인지에 대해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만들어갑니다.

 

내화면 공간과 외화면 공간
- 영화 스크린의 공간은 스크린 내부인 내화면 공간 외에 스크린 밖에 존재하는 보이지않는 외화면 공간이 있습니다
연출가는 외화면 공간에 전재하는 사물들을 언급하며 화면의 긴장감과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화면 밖으로부터 날아오는 화살은 화면 안에서 날아오는 화살보다 더 위험해 보이기 때문에 긴장감을 유발합니다. 그러므로, 공간 연출의 핵심은 내화면 공간과 외화면 공간의 대화를 잘 이용하는 것입니다.



[발췌 및 출처: 영상학(방통대) / 영상제작론(최이정) / NCS]

댓글